빠르고, 강력하고, 경제적인 원터치 철근 커플러
(주)알오씨

ROC-A2 (구 ROC-1C)

철근 무가공 원터치 커플러 (일체형)
ROC-A2 (구 ROC-1C) 시공방법
ROC-A2 (구 ROC-1C) 특징
  • - 공구가 필요 없는 원터치 이음(2초)
  • - 국내에서 생산, 열처리, 조립한 대한민국 제품
  • - 잔류 변형량 0.3mm 이상
  • - 균일한 이음 품질
  • - 비 숙련공도 시공 가능
  • - 내진 설계에 적용 가능
  • - 주물, 주조로 저가 대량 생산
  • - 합금으로 신율을 높여 깨지지 않는 주물 제작
  • - 도장과 도금처리로 녹 발생 최소화
  • - 겹침 이음보다 낮은 시공 비용
  • - 철근 체결 육안 검사 가능
ROC-A2 (구 ROC-1C) 규격
철근 규격 D1(mm) D2(mm) L(mm) 적용가능 철근강도
D13 29.8 15.5 104 SD400, SD500, SD600
이하
(사이즈와 모델에 따라 상이함)
D16 37.6 19 135
D19 44.6 23 151
D22 49.9 26 158.5
D25 57 29.5 175
D29 64.3 33 208
D32 69.5 36 214.5
D35 76.5 41 279
ROC-A2 (구 ROC-1C) 관련 FAQ
  • Q01.ROC-A2 (구 ROC-1C) 가격이 ROC-A1 (구 ROC-1B)보다 싼 이유가 무엇인가요?
    • 가공을 하지 않고 주물로 찍어내는 대량 생산방식이어서 쌉니다.
  • Q02.주물제품은 잘 깨지지 않나요?
    • 합금으로 신율을 높여서 깨지지 않습니다.
  • Q03.중국 제품이 아닌가요?
    • 국내에서 생산하고 열처리, 조립한 대한민국 제품입니다.
  • Q04.코팅이 콘크리트와 부착력에 문제 되지 않나요?
    • ROC-A2 (구 ROC-1C)제품의 표면 코팅은 일본 동경철강에 납품되는 철근 커플러의 코팅과 동일합니다.
    또한, 녹 방지용으로 에폭시 도막 철근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Q05.제품 중앙의 플라스틱 사출물은 구조적으로 문제가 없나요?
    • 단순히 철근삽입을 돕는 역할로서 철근이음강도와 관련이 없습니다.
  • Q06.커플러의 중앙부가 뚫려있어 수평 이음 시 약하지 않나요?
    • 철근의 단면적보다 커플러 중앙부의 단면적이 크고 강도 또한 높아서 수평 이음 시에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 Q07.잔류변형량이 0.3mm이상인데 내진설계에 적용 가능한가요?
    • 건축물의 내진 설계규정(KDS 41 17 00, KDS 14 20 80)은 개별이음보다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기술하고 있으며, 관련 규정들을 종합해 보면, 기계적이음이 가지는 내진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기계적 이음의 강도는 철근의 강도보다 커야 할 것
    ② KDS 14 20 52 콘크리트구조 정착 및 이음 설계기준에 따라 올바르게 시공될 것
    • 따라서, 상기의 요건에 따라 시공을 하면, 내진설계에 적용 가능합니다.
    • 단, 개별이음의 ‘0.3mm기준’은 기계적이음의 검사방법 규정(KS D 0249)상의 정적 내력 시험과 고응력 반복 내력시험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특수목적에 적용 가능하도록 더욱 가혹한 조건에서 견디는 자재의 건전성이라 할 수 있으며,
    이 기준 자체가 내진설계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알오씨는 이러한 엄격한 기준을 충족하는 원터치 제품도 보유 중입니다. ROC-B2 (구ROC-2B)
    • 철근을 예로 들면, ‘내진용 철근’이 개발되어 있지만, 고가이기 때문에 잘 쓰이지 않으며,
    현재 내진설계로 지어지는 건축물에도 일반철근으로 문제없이 시공하고 있습니다.
  • Q08.겹침 이음 길이가 확보되지 않은 구간에도 시공이 가능한가요?
    • ROC-A2 (구 ROC-1C) 커플러는 맞대기 이음으로써 철근 삽입 길이 (약 10cm 이내) 만 확보된다면 시공이 가능합니다.
  • Q09.콘크리트 피복두께 확보에 문제가 되지 않나요?
    • 피복두께 확보는 겹침 이음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철근과 콘크리트 간의 응력을 전달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 반면, 커플러를 이용한 이음은 콘크리트의 부착성과 관계없이 인장력을 발휘하므로
    피복두께가 겹침 이음보다 중요하지 않습니다.
  • Q10.철근의 배근 간격에 문제가 되지 않나요?
    • 겹침 이음 구간과 비교해서 커플러가 차지하는 면적은 극히 일부이며 커플러의 두께가 겹침 이음을 한 두께와
    비슷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않습니다.
    • 또한 반수이음(지그재그 이음, 계단식 이음 등)을 한다면 배근 간격이 확보될 수 있습니다.